파일 읽기/쓰기
파일로부터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읽거나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 동작입니다.

[파일 편집기 선택]
사용할 파일 편집기를 선택합니다.


[명령]
실행할 명령을 선택합니다.

- 읽기 : 파일을 읽어서 내용을 변수에 저장합니다.
- 한줄 읽기 : 파일을 한 줄만 읽어서 변수에 저장합니다. 읽은 후에는 자동으로 다음 줄로 이동합니다.
- 쓰기 : 파일에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씁니다.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합니다.
- 이어 쓰기 : 파일의 기존 내용에 이어서 데이터를 씁니다.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생성합니다.
- 모두 삭제 : 파일의 모든 내용을 삭제합니다.
- 파일 닫기 : 열려있는 파일을 닫습니다.
- 파일의 끝 (EOF) 여부 : 파일의 끝 (EOF) 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변수에 저장합니다.
[파일 경로]
파일의 경로를 입력합니다. [명령]이 “파일의 끝 (EOF) 여부”가 아닐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 만약 현재 읽거나 쓰는 파일을 닫지 않고 새로운 경로를 입력하면 이전 파일은 자동으로 닫힙니다.

[파일 모드]
파일을 읽거나 쓸 데이터 타입을 선택합니다. [명령]이 “읽기”, “쓰기”, “이어 쓰기” 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- 텍스트 : 파일에서 텍스트를 읽거나 씁니다.
- 바이너리 : 파일에서 바이너리 (바이트 배열) 데이터를 읽거나 씁니다.
[커서 위치]
파일을 읽거나 쓸 커서의 위치를 선택하거나 입력합니다. [명령]이 “읽기”, “한줄 읽기”, “쓰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예를 들어:
– 파일을 열면 커서는 기본적으로 파일의 시작(0) 을 가리킵니다.
– 데이터를 읽거나 쓰면, 읽거나 쓴 만큼 커서가 앞으로 이동합니다.
– 파일의 내용을 끝까지 읽으면, 커서는 파일 끝(EOF) 에 도달합니다.
[읽을 크기]
파일에서 읽을 크기를 선택하거나 입력합니다. [명령]이 “읽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읽을 크기 입력]
파일에서 읽을 바이트 크기를 입력합니다. [읽을 크기]가 “크기 지정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읽은 내용]
파일에서 읽은 내용을 저장할 변수를 선택합니다. [명령]이 “읽기” 또는 “한줄 읽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기존 내용 삭제]
파일에 데이터를 쓸때 기존 내용을 삭제할지 여부를 선택합니다. [명령]이 “쓰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쓸 내용]
파일에 쓸 데이터를 입력합니다. [명령]이 “쓰기” 또는 “이어 쓰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자동 줄바꿈]
파일의 기존 내용에 이어서 텍스트를 쓸 때 줄바꿈한 뒤 쓸 지 여부를 선택합니다. [명령]이 “이어 쓰기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파일의 끝 (EOF)]
커서가 파일의 끝 (EOF, End Of File)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저장할 변수를 선택합니다. [명령]이 “파일의 끝(EOF) 여부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