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 통신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동작입니다.

[URL]
연결할 웹 서버의 URL을 입력합니다. URL은 “http://” 또는 “https://” 로 시작합니다.

[연결 타임아웃]
웹 서버에 연결시 대기할 타임아웃 시간을 입력합니다. 이 시간이 초과하면 연결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.

[메서드]
HTTP 요청 메서드 (method)를 선택합니다.

- GET : 데이터를 조회(읽기)
- POST : 데이터를 전송(새로운 자원 생성)
- PUT : 자원을 전체적으로 수정 또는 생성
- PATCH : 자원의 일부 수정
- DELETE : 자원 삭제
- HEAD : 데이터 없이 메타 정보만 요청
- CONNECT : 터널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하는 데 사용
- OPTIONS : 서버가 지원하는 메서드 확인.
- TRACE : 요청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
[컨텐츠 타입]
HTTP 요청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선택합니다. [메서드]가 “POST”, “PUT”, “PATCH”, “CONNECT”, “OPTIONS” 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요청 내용 (Body)]
HTTP 요청 내용 (Request body)을 입력합니다. [메서드]가 “POST”, “PUT”, “PATCH”, “CONNECT”, “OPTIONS”인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응답 코드]
요청에 대한 웹 서버의 응답 코드 (Response code)를 저장할 [숫자] 타입의 변수를 선택합니다.

[응답 내용 (Body)]
요청에 대한 웹 서버의 응답 내용 (Response body)를 저장할 [텍스트] 타입의 변수를 선택합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