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QTT 클라이언트
[동작] -> [MQTT 통신]에서 사용되는 MQTT 클라이언트 설정입니다.
추가
[+추가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
[이름]
MQTT 클라이언트의 이름을 입력합니다. 임의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[호스트]
MQTT 브로커 (서버)의 호스트 이름 또는 IP주소를 입력합니다.

[포트]
MQTT 브로커의 포트 번호를 입력합니다. 기본 포트 번호는 1883 (암호화 미사용) 또는 8883 (SSL/TLS 암호화 사용) 입니다.

[연결 타임아웃]
MQTT 브로커에 연결 시 타임 아웃 시간을 입력합니다. 이 시간을 초과할 경우 연결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.

[클라이언트 ID]
현재 클라이언트의 ID를 입력합니다. 클라이언트 마다 고유한 ID를 사용해야 하며 다른 클라이언트의 ID와 중복될 수 없습니다.

[사용자 인증]
사용자 인증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
[아이디]
아이디를 입력합니다. [사용자 인증]이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패스워드]
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. [사용자 인증]이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SSL/TLS 암호화]
SSL/TLS 암호화를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 SSL/TLS 암호화를 사용하면 모든 송수신 메시지가 암호화됩니다.

[클라이언트 인증서]
클라이언트 인증서의 로컬 경로를 입력합니다. [SSL/TLS 암호화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클라이언트 개인키]
클라이언트 개인키의 로컬 경로를 입력합니다. [SSL/TLS 암호화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CA 인증서]
CA 인증서의 로컬 경로를 입력합니다. [SSL/TLS 암호화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Will 메시지]
Will 메시지를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 MQTT 브로커와의 접속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경우 접속한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보내는 Will (유언)메시지 입니다.

[토픽]
Will 메시지를 보낼 토픽을 입력합니다. [Will 메시지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메시지]
Will 메시지를 입력합니다. [Will 메시지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[QoS]
Will 메시지의 Qos (Quality of Service)를 선택합니다. [Will 메시지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 QoS는 MQTT의 메시지 서비스 품질 단계를 의미합니다. 숫자가 커질 수록 신뢰성이 높아지지만 그만큼의 네트워크 리소스를 더 소모합니다

- QoS 0: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대방의 응답을 확인하지 않습니다. 그러므로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.
- QoS 1: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대방의 응답이 오지 않으면 계속 메시지를 보냅니다. 그러므로 메시지가 중복으로 전송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.
- QoS 2: four-way handshaking 방식을 사용하여 정확히 한번의 메시지 전송을 보장합니다.
[메시지 보존]
Will 메시지를 보존 (retained)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 메시지를 보존하면 Will 메시지가 서버에 보존되며 서버는 새로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도 Will 메시지를 보냅니다. [Will 메시지]가 체크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.

편집
편집하고자 하는 항목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편집합니다.

삭제
삭제하고자 하는 항목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