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디렉토리 구조
리눅스와 윈도우의 디렉토리 구조는 아래와 같은 차이점 있습니다.
루트 디렉토리
- 리눅스: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단일 루트 디렉토리
/
아래에 계층적으로 배치됩니다. 예:/home
,/etc
,/usr
.
- 윈도우: 각 드라이브(예:
C:\
,D:\
)가 별도의 루트 디렉토리를 가집니다
경로 구분자
- 리눅스:
/
(슬래시) 예:/home/user/documents/file.txt
- 윈도우:
\
(백슬래시) 예:C:\Users\user\Documents\file.txt
드라이브 명명 방식
- 리눅스: 드라이브는 디렉토리로 “마운트”되며,
/mnt
또는/media
같은 디렉토리 아래에 나타납니다.
- 윈도우: 드라이브는 문자로 식별됩니다(예:
C:\
,D:\
).
리눅스 디렉토리 구조
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와 각 디렉토리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.

/
: 리눅스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의 최상위 디렉토리입니다.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습니다.
/bin
: “binary(바이너리)”의 약자로 리눅스 소프트웨어나 명령이 저장되어 있습니다.
/boot
: 부팅에 필요한 파일을 포함하며 커널 로딩과 관련된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습니다. 또한 GRUB 부트 로더 파일도 여기에 포함됩니다.
/dev
: “device(장치)”의 약자입니다. 하드웨어 장치와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로, 하드 디스크, CD-ROM, 오디오, 입력 장치 등과 관련된 파일을 포함합니다.
/etc
: Etc는 “Etcetera(기타)”의 약자입니다. 시스템 및 사용자 패키지와 관련된 설정 파일을 포함합니다.
/home
: 사용자를 위한 디렉토리로, 윈도우의 “C:\Users\사용자이름” 폴더와 유사합니다. 리눅스에서 사용자를 생성하면, 해당 사용자만 접근 가능한 폴더가 /home 디렉토리 아래에 생성됩니다.
/root
: 루트 사용자(슈퍼 관리 사용자)의 홈 디렉토리입니다.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/home/사용자이름 아래에 생성되지만,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/root에 위치합니다.
/run
: 시스템 부팅 후 생성되는 런타임 데이터(PID, 소켓, 락 파일 등)를 저장하는 메모리 기반 임시 파일 시스템(TMPFS)입니다.
/sbin
: “System Binary(시스템 바이너리)”의 약자입니다. /bin 디렉토리와 유사하지만, 시스템 유지 관리나 관리 작업에 필요한 실행 파일이 저장됩니다. 일반적으로 부팅, 백업, 복구와 관련된 실행 파일을 포함합니다.
/tmp
: 임시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. 예를 들어,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려는 경우 /tmp 디렉토리에 다운로드한 후 설치할 수 있습니다. 이 디렉토리는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합니다.
/usr
: “Unix System Resources(유닉스 시스템 자원)”의 약자입니다.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가장 유용한 디렉토리 중 하나로, 공유 가능한 바이너리, 문서, 라이브러리 등 읽기 전용 데이터를 포함합니다. 사용자 시스템 자원 디렉토리로 사용됩니다.
/var
: “Variable(변수)”의 약자입니다. 리눅스의 중요한 디렉토리 중 하나로, /usr 디렉토리와 반대되는 성격을 가집니다.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(예: 로그 파일)가 저장됩니다.